U-23 챔피언십은 2014년에 시작된 이후 2년마다 총 4회 개최됐다. 아시아 무대 전체 연령별 대표팀을 통틀어도 2004년 16세 이하(U-16) 대회서 조별리그 탈락한 것이 처음이다. 일본은 A대표팀이 참가하는 아시안컵이 16개국 체제로 개편된 이후 단 한 번도 별리그서 탈락한 적이 없다. 이번 조기
감독은 어린 나이에 1구 경기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 대해 "구단이 어린 시절부터 기대를 갖고 키운 선수라 당분간 기회가 계속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근 정우영이 경기를 뛰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그래도 구단이 적지 않은 돈을 투자했는 데 이 상태가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2군 경기는 계속 뛰고
현재 선수 구성 안에서 AFC U-23 챔피언십 본선 멤버가 추려진다. 데일리 산쵸는 "올림픽을 앞두고 아직 팀을 만드는 과정이 이어지고 있다. 유럽파 멤버를 제외했기 때문에 이번 대표팀도 완성된 1군 멤버라 볼 수 없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모리야스 감독이 A대표팀과 올림픽 대표팀의 겸임을 하는 것이 발목을 잡고 있다. 이번
빠른 전환이 몸에 안 배었다.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김 감독은 백승호가 좀 더 과감한 패스들로 창의성을 불어넣길 바라고 있다. “빠른 침투 패스를 더 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실수는 상관없다. 뺏겨도 줘야한다. 오히려 안 주면 혼난다. 뺏기면 다시 뺏으면 된다”고 적극적인 플레이를
모두 수비에 막혔다. 우즈벡은 시간이 지날수로 공격에 무게를 두며 동점골을 노렸다. 하지만 한국은 침착하게 우즈벡의 공격을 막았고, 결국 승리와 함께 조 1위로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스포티비뉴스=방콕(태국), 박대성 기자 베트남은 16일 태국 방콕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0 AFC U-23 챔피언십 D조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북한과 1대2로 패했다. 승점 2점의 베트남은 이날 북한과의 경기에서 무조건 승리를 거두고 아랍에미리트-요르단전 결과를 지켜봐야 했다. 두 팀의 승패가 갈릴 경우, 베트남이 북한을 이기기만 하면 조 2위로 8강 진출이었다. 하지만 상대 경기를 지켜보고
감독은 지난해 말부터 이달까지 80여명의 선수들을 호출해 테스트했다. 대회에 나갈 수 있는 1997년 이후 출생자 중 K리그1과 2, 대학 무대에서 뛰는 웬만한 선수는 다 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정밀하게 관찰했다. 이제는 선발 작업의 끝이 보인다. 김 감독은 “전체적인 선수 평가는 거의 다 끝났다고 보면 된다. 선발 과정이 좁혀졌다. 다음달부터는 팀이 조금 더 안정적으로 갈 것이다”라며 11월에는 챔피언십을 대비하는 차원에서 최정예에 가까운 전력이 나올 것임을 예고했다. 김 감독은 9~10월 훈련
할 것 없이, 스스로 기회를 만들지 못했다. 베트남은 다른 두 팀이 0대0으로 비길 것에 대비해 두 골차 이상 승부를 만들어야 했다. 초반부터 공격적으로 나섰다. 그리고 전반 16분 일찌감치 선취골을 뽑아냈다. 우측에서 호탄타이가 날카로운 크로스를 보냈고, 문전으로 쇄도하던 공격수 티엔린이 발만 갖다대며 골로 연결시켰다. 하지만 골키퍼 티엔둥의 치명적 실책이 나왔다. 전반 26분 수비 진영 중앙, 골대에서 30~40m 떨어진 지점에서 반칙이 나왔다. 북한의 프리킥 찬스. 북한 강국철은 강함보다 정확성을 앞세워 직접 슈팅을 때렸다.
좋은 플레이를 보여주면서 인정을 받은 것이다." 김학범 감독은 지금 상황이 좋지 않다고 불만을 갖고 다른 생각을 하기보다 더 치열하게 훈련하고, 개인적인 준비를 통해 능력을 키워서 살아남아야 한다고 말했다. "기술도 중요하지만 그렇게 살아남겠다는 정신이 중요하다"며 유럽 무대 진출과 생존이 재능만으로 되는 일이 아니라고 했다. AFC U-23 챔피언십 본선, 나아가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에 나설
있다. 두 대회 모두 선수들에게 민감한 병역 문제가 부상으로 걸려 있다. 그 문제가 선수들에게 강한 동기부여가 되기도 한다. 도쿄 하계 올림픽 본선 출전권은 2020년 1월 태국에서 열리는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을 통해 얻어야 한다. 개최국 일본이 한 자리를 차지해
않았다. 지금까지는 팀 색깔을 만들거나 조직력을 키우는 작업이 아니라 김 감독이 원하는 선수 찾기에 몰두했던 시간이었기 때문에 11월부터는 ‘팀 김학범’의 축구를 틀을 만들어야 한다. 김 감독은 “시간이 별로 없다. 선수 선발 작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됐으니 다음달부터는 진짜로 대회를 준비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일부 부족한 포지션에서는 점검이 필요하지만 큰 틀에서는 팀이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가겠다”라며 챔피언십 준비 본격화 구상을 밝혔다. 베트남 U-23 대표팀은 내년 1월 태국에서 2020 도쿄 올림픽 최종 예선으로 열리는